2025년 7월 3일 목요일

2025년 봄학기,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마지막 학기. 강의를 듣지는 않았다. 홀로 논문을 쓰고, 가끔 교수님과 만나서 의견을 주고 받는다. 프로그램 특성상, 교수님이 모든 학생의 주제에 맞춰 세세한 내용에 대해서 조언을 해줄 수는 없다. 워낙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있고, 교수님들의 배경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애석하게도 CUNY Graduate Center의 DH 대학원에 철학 전공의 교수는 한명도 없다.) 

논문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Re-envisioning Digital Agency: from Representationalism to Interpretant-driven Epistemology."

논문 초록은 다음과 같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pistemological and ethical foundations of digital technologies, particularly code and algorithmic systems, by considering their entanglement with representationalism. Arguing that code now functions as a dominant social agent and epistemic subject, through the concept of the Code’s-eye view, I explore how automated datafication reduces human experience to quantifiable inputs, reinforcing epistemic closure and social fragmentation. Drawing on pragmatist philosophy, including Peirce’s semiotics, Dewey’s democratic ethics, and Rorty’s conversational inquiry, I propose an interpretant-driven epistemology grounded in communal inquiry and interpretive openness. This alternative framework resists the binary logic of algorithmic rationality by emphasizing conflict and the shared process of meaning-making. By comparing two digital mapping projects, I aim to illustrate how code can either intensify or resist these epistemic tendencies, an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communal agency as a comprehensive process. In this respect, I argue for reclaiming digital agency as a participatory, ethical, and socio-political process – one that reopens the public/political spheres and recovers the communal ‘We’ in an age of automated anxiety.>  

본문을 시작하는 첫 문장이 이 논문의 중심 주제이며, 탐구해보고자 하는 명제이다.

"Today, code has become a dominant social agent." 

그리고 이 명제는 상충하는 두 명제로 구성된다.

1. It is socially constructed.

2. It has gaind subjectivity.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 주체성을 지닌다는 말은 일견 모순으로 보인다. 무엇인가 만들어졌다는 말은 만든 사람이 있고, 그로부터 기능/본질을 이미 선행적으로 부여받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이 상충하는 두 명제(1&2)가 오히려 첫 문장 - code has become a dominant social agent - 을 강화한다고 주장한다.

(...)

논문의 주제와 내용은 지난 강의들을 통해서 발전시키고 다듬었던 것들이다. 철학적 개념들을 무리없이 적용시키고자 노력했지만, 쉽지않은 작업이었다. 또한, 논문을 쓰면서 다루고자 하는 범위가 너무 넓어지지 않았나 걱정이다. 그래도 일단은 다 썼다! 지도 교수에게 최종본을 보냈으니, 답변을 들은 후에 마무리 하면 될 듯 하다. 

DH 과정은 끝나가고, 완성된 논문을 도서관에 제출하면 9월에 졸업이다. 사실 졸업/학위증은 의미가 없다. 다음 여정으로의 징검다리로써 이 대학원 프로그램을 선택했으니, 이 다음 발걸음을 어디로 옮겨야 할지 고민이다. (실상 논문을 쓰는 시간보다, 이에 대한 고민과 주저함이 이번 봄학기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석사 논문 주제와 연관된 직업 또는 연구를 지속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하여 미래 계획을 두 가지로 압축해서 고민 중이다.

Plan-1: Data ethics/AI ethics-related jobs

Plan-2: PhD in STS, Anthropology, Philosophy...

두 계획 모두 쉽지 않겠지만, 중첩되는 지점은 명확하다: 문외한의 기술 (데이터/코딩/인공지능) 탐방기.

이를 위한, 올 여름의 단기적인 계획은 역시나 계속 코딩을 공부해보는 것이다. 아무것도 만들고 싶지 않은 사람이 코딩을 공부하는 것은 정말이지 괴로운 일이다. 아늑했던 DH 연구실을 떠나는 일도 슬프다. 

아무튼 이제 다시, "Hello, World!"

2025년 6월 26일 목요일

New York City 25: Politics_Zohran Mamdani

 <뉴욕에 관한 여행책자들은 많다. 그리고 뉴욕여행에 관한 블로그 자료들도 많다. 그래서 내가 이 곳에 기록하고자 하는 것은 뉴욕의 여러 모습들과 그에 대한 매우 개인적인 기억들이다.>

뉴욕시는 어마어마한 곳이다. 우선, 경제적 영향력. 간단히 뉴욕시의 GDP를 검색해보면,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지역(GMP)을 포함하여 $2.299 trillion, 뉴욕시 자체 GDP만으로도 $1.286 trillion (2023년 기준) 이다. 학문/문화의 측면에서도 뉴욕은 굉장히 매력적인 곳이다. 다양한 분야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육 기관들이 있고, 다양한 언어/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한 뉴욕 시민들과 방문자들이 어우러진다. 뉴욕이라는 공간이 온갖 소설, 영화, 드라마의 배경이라는 사실은 말 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많다. 

그렇다면 정치는 어떨까? 

뉴욕시의 정치적 영향력은 미국에서 어느 정도일까?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예를 들자면, 한국의 경우 서울 시장을 2-3번 정도 역임한 인사는 자연스레 소속 정당에서의 입지가 올라가면서 유력한 대권주자가 된다. (심지어 국무회의에도 참여한다!) 그러나 뉴욕 시장은 연방 정부에서의 공식적 역할을 부여받지 못한다. 물론, 연방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없다. 다시 말하자면, 뉴욕 시장은 - 그 유명세에 비해 - 미국의 중앙 정치 무대와는 거리가 있는 자리다. (그렇다. 역대 뉴욕 시장 중에서 대통령직에 도전했던 사람들은 있지만, 성공한 사람은 없다!) 그러나 미국의 중앙 정치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자리이기도 한데, 뉴욕 시장이 갖는 주목도와 상징성이 굉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민주당내 후보 선출 선거가 끝났고, 뉴욕 사람들은 새로운 인물을 찾았다: Zohran Kwame Mamdani

 



 한국의 뉴스에서도 짧게 이 소식을 다루었다. 예를 들어 KBS에서는 Mamdani 후보자를 극단 좌파로 묘사하였고, 그의 경쟁자 Coumo를 실용주의 노선으로 소개한다. ('실용주의 노선'에서 헛웃음이 새어나왔다.) 정작 C는 줄곧 여론조사 1위를 유지했지만, 자기 목소리를 낸 적이 없다. "나는 뉴욕 시장으로서 ~~~~를 할겁니다."라는 구체적인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 오로지 M을 깍아내리기에 바빴다. 결전의 날이 왔고, 뉴욕 사람들이 Mamdani 후보자를 선택했을 때, 그들에게 가장 크게 다가왔을 두 후보의 상징 대립항은 [People vs. Money] 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한 것은 Mamdani의 솔직한 발언에 있다.
 
이번 뉴욕 시장 후보 경선에서 주목했던 두번의 결정적 장면이 있다. Mamdani says...

1. "The name is Mamdani. M-a-m-d-a-n-i. You should learn how to say it."
2. "I would stay in New York City."..."I will be standing up for Jewish New Yorkers."..."I believe Israel has the right to exist." ... "As a state with equal rights."


(1)의 경우, 미국의 금권선거가 낳은, 금전적 후원에 기댄 Coumo의 안일함이 부각되었다. (그는 자신만만했다. C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고, 그의 아버지 또한 뉴욕 주지사였다. 심지어 Coumo 이름의 다리도 있다.) 내가 느낀 Coumo의 선거 전략은 그저 <My name is Coumo and I am here. Now vote!>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듯 하다. 

(2)에서는 Mamdani의 솔직함이 드러났다. - 도대체 뉴욕 시장 선거에서 이스라엘 이야기를 왜 하냐고 묻는다면...미국 사람들도 정확한 이유를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일종의 도덕적 우월감, 자기 위안, 미국이라는 나라의 정당성, 현실 권력과 금권정치의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라는 인상을 갖고 있다. - 토론 사회자가 던진, 뉴욕 시장이 되었을 때 처음 방문할 나라가 어디냐는 질문에 - 질문의 의도가 너무 드러난다. - 한 후보자가 "Holy land"라고 말한 이후, 다른 후보자들 모두 늦을세라 이스라엘을 방문할거라 말하였다. 그러나 Mamdani는 뉴욕시장으로서 뉴욕에 남을 것이고, 뉴욕에 있는 유대인들과 그들 공동체를 방문할 것이다라는 답을 하였다. (이 와중에 Coumo는 "His answer was No."라고 고자질을 하였다.)

이상과 현실, 실소와 진솔함, 기대와 분노, 권력의지와 사명감이 뒤섞이고 충돌하는 여느 선거와 마찬가지로, 이번 뉴욕 시장 후보자 경선도 흥미로움과 실망이 뒤썩인 채 끝났다. 그리고 뉴욕 사람들 - 민주당 유권자 -은 새로운 인물을 내세웠다: Zohran Mamdani. 

이 이야기는 어디로 어떻게 흘러갈까? 흥미롭다!

2025년 4월 14일 월요일

읽는 공간: 사색_서재

 

서울 은평구 연서로4길 12 2층, 읽는공간 사색서재

작은 공간. 마음에 드는 책. 따뜻한 차. 조용한 조명. 언젠가 태평양을 건너 가보고 싶은 곳.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asaek_books/

네이버 블로

https://blog.naver.com/sasaek_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