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6일 토요일

여가와 관조 #3: 선거

 <이것 아니면 저것>이 아닌 <이것과 저것>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양비론 또는 회색지대라고 비판할 사람들을 비웃으며 글을 시작한다. 

너와 나의 생각은 서로 다르고, 그렇기에 너와 내가 봐라보는 사실도 서로 다르다. 

나는 정치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철학을 공부하며 관심을 가졌던 '정치 철학'도 결국 '철학'에 방점이 찍혀있다. 따라서 현실 정치를 바라보는 나의 시선은 지극히 주관적이며, 지극히 평범하다. 여전히 '비판적 지지'의 기능을 신뢰하며, 정치 과정의 역동성을 지지하면서도 충돌과 조화를 동반하는 끊임없는 대화를 기대할 뿐이다. 누군가에게는 이러한 나의 태도가 꽤 보수적인 입장일 것이다.

아무튼...

'윤석열' 대통령. 그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 당선되었다. 그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이다. 나는 이 사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단지 나는 그의 반지성적 태도와 언행을 보고 '그 어떤 기대도 하지 않았을 뿐'이다.

2024년 3월 27일.

바다 건너 먼 곳에 살고 있지만 (예전 만큼의 강도는 아니지만...이곳도 복잡한 일들이 넘쳐나기에...) 여전히 한국 사회에 관심이 있는 한명의 시민으로서 투표를 마쳤다. 엄청나게 긴 비례정당 투표지와 매우 짧은 지역 국회의원 투표지를 마주하고 고민없이 도장을 찍었다. 윤석렬 대통령에게 그 어떤 기대도 하지 않았고, 남은 임기 동안에도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기에 이번 선거는 나의 실망스러운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일까? 홀로 몇몇 물음을 던져본다.

'투표는 개인들의 사적이익을 표출하는 수단일까?'
'지지하는 정당의 승패에 따른 자존심의 문제일까?'
'공공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표를 던지는 시민들도 있을까?'
'대의 민주주의, 그 이후의 새로운 방향은 가능할까?'

언론은 스스로 자신의 책무를 내려놓았고, 그들에게 대중은 통제하고 유인하는 대상이었다. 권력은 언론을 길들이고, 언론은 권력을 감시하지 않았다. 무너져버린 것은 그들의 권위가 아니라, 시민들의 연대였다. 애초에 그들은 권위를 바라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안타깝게도 시민 사회의 연대는 희미해지고, 적대와 갈등이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온다. 

윤석열 정부의 무능은 더 이상 지적할 필요도 없다. 한 공동체의 지도자는 최소한의 지적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적능력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새로운 시각과 개방성을 동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윤석열 본인은 물론이고, 현 정부 관계자들은 지적으로 뒤떨어진다. 그렇기에 기대가 되지 않는다. 멀리서 바라본 한국의 정치 대부분은 어이가 없었고, 가끔 분노를 느꼈다.  

윤석열은 박근혜와는 다르다. 사실 그는 정치적 자산이 없다. (본인 아버지에 대한 열성적 지지를 정치적 자산이라 부르는 것도 이상하지만...) 이번 선거가 '윤석열 정부 심판'이라는 틀에서 치뤄진다면 현 여당의 의석은 100석도 넘기기 쉽지 않으리라 짐작해본다. 

감정이 요동치는 정치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냉소만이 남는 정치는 더 이상 정치가 아니다. 그렇기에 한표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