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사> by 장강명 |
사실-상상 복합체, 현실과 물리세계, 사건과 의미, 객관과 주관, 도덕적 책임의 원근법, 신계몽주의, 그리고 점박이.
민소림의 죽음은 우발적이었다. 찰나의 모멸감이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자국을 남긴다. 급작스런 살인. 그러나 과연 예측할 수 없었던 살인이었는가? '나는 병든 인간이다....나는 악한 인간이다. 나는 호감을 주지 못하는 사람이다.'로 시작하는 대학시절 도스토예프스키 작품 독서 모임의 공고문과 가슴팍을 칼에 찔린 채 살인자를 향해 내뱉는 민소림의 '네가 감히?'라는 눈빛은 묘하게 사건의 진실을 향한다.
우월감-열등감, 찬양-모멸, 애-증, 미-추, 너-나, 그렇게 민소림-살인자는 한쌍을 이룬다. 각 개념의 짝은 정반대의 뜻을 지니지만, 현실 속에서는 그 의미가 뒤섞이고 교차한다. 한쌍 개념들은 그 무엇보다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떨어질 수 없는, 모순을 견디는, 보다 친밀한. 논리는 논리의 세계만을 구축할 뿐, 현실을 담아낼 수 없듯, 현실은 이토록 부조리하다. 새로운 사상이 필요한 것일까?
그리고 점박이.
작품 속 민소림의 아름다움을 접하며, 권여선 작가의 작품 <레몬>에 등장하는 해언을 떠올린다. 물론 이 두 사람은 전혀 다른 아름다움을 지닌다.
민소림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이용할 줄 안다. 그것은 철저히 세속적이다. 자신의 얼굴, 자신의 몸이 관심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즐긴다. 그녀는 자신의 몸 속 깊숙히 자신의 아름다움을 새겨놓는다. 섹스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내보이고 이용하는 하나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권여선 작가의 작품 <레몬>에 등장하는 인물 '해언'은 자신의 신체, 그것이 지닌 아름다움에 철저히 무관심하다. 가끔 그것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그녀는 그 아름다움의 가치를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해언의 아름다움은 초월적이다.
민소림이 인스타그램의 팔로워들을 위해 (작품의 배경은 1990년대 이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아름다움을 뽐낸다면, 해언은 미술관에 걸려있는 작품 속 여인으로 머문다.
그리고 점박이.
우리는 민소림의 의도를 알 수 없다. 그저 짐작하고 해석할 뿐이다. 그것은 애정과 신뢰의 표현이었을까? 아니면 오만과 경멸의 표현이었을까? 어쩌면 전혀 다른 성질의 감정과 태도가 섞여있었던 것은 아닐까? 살인자도 그저 짐작하고 해석했을 뿐이다. 그리고 행동했다. 그것은 살인자 본인에게도 급작스레 일어난 사건이다. 모멸감이 해소되었을까? 멈춰버린 아름다움은 더 이상 찬양과 부러움의 대상이 될 수 없을까? '내'가 저지른 살인은 정당한 것일까? 이 세상은 '나'에게 정의로웠던가? 그렇게 20년 동안 이어온 살인자 개인의 사유가 국가가 구축한 시스템을 만나는 순간, 즉 관념과 실체의 어지러운 충돌이 소설의 시작과 끝을 이룬다.
형의 추천.
지금까지 읽은 책들을 살펴보면, 그 중 현대 소설의 비중은 꽤 낮은 편이다. 그나마 읽은 최근 소설들도 대부분 1940~1970년대 작품들이다. 그런데 지난 여름 한국을 방문했을 때, 형의 책장에서 꽤 많은 장강명 작가의 책들과 조우했다.
형의 추천으로 바다 건너 멀리 가지고 온 책: <재수사>
형의 독서 취향과 겹쳐지는 부분들이 꽤 있기에, "꽤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거야."라는 형의 평을 믿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지난 가을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읽기를 잠시 멈추었던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을 잠시 뒤로 미루고 이 작품을 읽기 시작했는데, 공교롭게도 책의 뼈대를 이루는 소재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이었다.
또 한가지 흥미로웠던 점. 작품 속에 등장하는 트롤리 딜레마에 대한 장강명 작가의 개념: 도덕적 책임의 원근법.
학부 시절, 교수님께서 이메일로 보내주신 트롤리 딜레마에 대해 비슷한 관점으로 답변을 주고 받았던 기억이 난다. 기본적으로 트롤리 딜레마는 공리주의와 도덕적 의무론의 차이를 드러내는 사고실험인데, 당시 내가 교수님께 드렸던 답변이 장강명 작가의 '도덕적 책임의 원근법'과 굉장히 유사한 부분이 있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나의 답변은 주체의 도덕적 인식은 특정한 맥락 안에서만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가령, 나와 더 가까운 타인의 도덕적 요구/요청이 어떤 도덕적 틀을 사용할지 결정짓는다는 요지의 답이었다.
미스터리와 지적유희가 어우러진 작품 덕분에, 겨울 방학 학과 사무실의 고요함을 지워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작가님께: '제시 한'의 체포 장면은 정말로 좋았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