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24일 토요일

(읽기)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 3

<철학적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Wiggenstein / 한글 번역서 by 이승종 역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 introduction> by David G. Ster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udwig Wittgenstein

(#65-133)

 "게임"은 무엇인가? (What is a game?)

 "~은 무엇인가? (What is ~?)"라는 물음은 어떤 대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즉 그 대상에 대해 '설명(explanation)'을 요구한다. 본질을 상정하는 물음은 언제나 설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이 말하고 있는 '언어-게임'은 단지 경험적 기술(description)이 가능할 뿐이다. 다양한 게임들을 눈 앞에 늘어놓는다. 
And the upshot of these considerations is: we see a complicated network of similarities overlapping and criss-crossing: similarities in the large and in the small. (#66)

I can think of no better expression to characterize these similarities than “family resemblances”; for the various resemblances between members of a family - build, features, colour of eyes, gait, temperament, and so on and so forth - overlap and criss-cross in the same way. - And I shall say: ‘games’ form a family. (#67)

 '언어-게임'은 특정한 이론적 토대로 기능하지 않는다. 즉 고정된 개념으로 이를 설명할 방법이 없다. 그것은 경험을 통해 정립된다. 물론 언어는 그 자체로 개념적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고도로 추상화된 언어를 통해 '언어-게임'을 말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추상성, 개념적 측면을 완전히 배제한 채로 이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우리는 언어가 없는 상태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는 '언어-게임'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게임의 규칙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게임'은 규칙을 동반한다. 그렇다면 공통된 규칙이 게임을 정의하는가? 그러나 각 게임의 양상이 모두 다르듯, 그에 따른 규칙 또한 고정되지 않는다. 규칙은 게임 안에서도 수시로 변형되고 다양하게 해석된다. "'게임'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68)"라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빌리자면, '규칙' 또한 규정되어 있지 않다! 

How would we explain to someone what a game is? I think that we’d describe games to him, and we might add to the description: “This and similar things are called ‘games’.” And do we know any more ourselves? Is it just that we can’t tell others exactly what a game is? - But this is not ignorance. We don’t know the boundaries because none have been drawn. To repeat, we can draw a boundary a for a special purpose. Does it take this to make the concept usable? Not at all! Except perhaps for that special purpose. (#69, emphasis mine)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는 '언어-게임'은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언어 '사용'이다. 이를 통해 비트겐슈타인은 지금까지 우리가 지녔던 편견,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철학적 기획에 의문을 제기한다.: "논리학은 어떤 의미에서 고상(sublime)한 것인가?(#89, emphasis mine.)"

 일상 언어의 규칙이 언제, 어디서나 정확하게 적용되기를 원한다면, 이 규칙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형식, 즉 이상적 논리가 작동해야 한다. 그런데 과연 논리는 이상적인가? 그 형식은 고정 불변하는 순수 형식인가? 그들이 말하는 논리의 고상함(the sublimity of logic)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스턴(David G. Stern)은 이에 대해 반-회의적(non-Pyrrhonian)입장과 회의적(Pyrrhonian)입장을 나누어 본다.

(non-P.) 
논리는 일상 언어에 적용하는 철학적 방법이며 이는 형식 논리를 의미한다. 그러나 '고상함(sublime)'이라는 표현은 그 위치를 지나치게 격상시키고, 철학자로 하여금 환상에 가까운 정확성을 요구한다.(p.122)

(P.)
논리는 단순히 단어/낱말 사용을 위한 규칙을 의미한다. 그런데 '고상한' 논리는 우리의 일상적 행동 과 말하기를 터무니없는 것(nonsense)으로 이끈다. 결국 논리를 단어 사용에 적용하는 단순한 규칙 이상의 그 무엇, 즉 형이상학적 쓰임으로 바꾸며, 이를 통해 철학적 문제들, 즉 언어의 본성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게(오표상; misrepresentation) 된다. (p.123)

 철학의 테두리 안에서 '논리'는 명제의 형식적 통일성을 뒷받침한다. 이는 의심의 여지 없이 참이다. 그러나 논리 그 자체의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그 적용(employ; use)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언어-게임'이 그러하듯 '논리' 또한 다양한 해석에 열려 있는가? 

 설명은 논리를 동반한다. 그렇다면 기술(description)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그것은 우리들의 활동/삶의 형식을 동반한다. 

All explanation must disappear, and description alone must take its place. And this description gets its light - that is to say, its purpose a from the philosophical problems. These are, of course, not empirical problems; but they are solved through an insight into the workings of our language, and that in such a way that these workings are recognized a despite an urge to misunderstand them. The problems are solved, not by coming up with new discoveries, but by assembling what we have long been familiar with. (#109, emphasis mine.)

 '논리'를 하나의 '규칙'으로 이해한다면, 이는 언제나 우리 삶의 형식을 전제로 한다. 그것은 훈련과 숙련을 요구한다. 그것은 언제나 문맥과 배경을 수반한다. 이는 '논리'를 포기하는 것인가?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 <철학적 탐구>에 대한 상이한 해석은 철학 그 자체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철학을 재구성할 것인지, 아니면 철학에 종언을 고할 것인지.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철학은 '언어-게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해석과 이해에 열려있다.

2023년 6월 17일 토요일

(읽기)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 2

<철학적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Wiggenstein / 한글 번역서 by 이승종 역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 introduction> by David G. Ster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udwig Wittgenstein

(##1-64)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의 <고백록; Confessions>을 인용하여 비트겐슈타인이 지적하고 싶었던 지점은 무엇이었을까? 

 These words, it seems to me, give us a particular picture of the essence of human language. It is this: the words in language name objects a sentences are combinations of such names. —– In this picture of language we find the roots of the following idea: Every word has a meaning. This meaning is correlated with the word. It is the object for which the word stands. (#1b, emphasis mine.) 

 언어가 지닌 지시적 정의(Ostensive Definition). 낱말과 의미의 단칭적 관계, 낱말이 부여한 대상의 이름, 그리고 대상과 낱말의 대응적 관계가 보여주는 특정한 그림. 이는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저서 <논고>를 겨냥한 것인가? (small-picture reading) 또는 책 전반에 걸쳐서 다루고 있는 수 많은 철학적 편견/독단의 구조를 조망하고 있는 것인가?(big-picture reading) 어쩌면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일면만을 오독하고 허수아비 때리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1d에서 제시된, 매우 단순화한 언어-게임(language-game) 속 목소리: "Well, I assume that he acts as I have described. Explanations come to an end somewhere.(#1d, emphasis mine.)"는 비트겐슈타인을 행동주의자(behaviorist)로 만드는가? 

 비트겐슈타인은 우리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 그 특정한 문맥 속 [낱말-대상]의 지칭적 관계를 언어의 보편적 구조로 확정 지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I do not wat to call this "ostensive explanation" or "definition", because the child cannot as yet ask what the name is. I'll call it "ostensive teaching of words". (...) No doubt it was the ostensive teaching that helped to bring this about; but only together with a particular kind of instruction. With different instruction the same ostensive teaching of these words would have effected a quite different understanding.(#6)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안한 언어 학습은 한 단어에 대한 "지칭적 가르침"이다. 그것은 불변하고 고정된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오히려 특정 문맥/배경을 동반한다. 그렇기에 비트겐슈타인은 언어-게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I shall also call the whole, consisting of language and the activities into which it is woven, a “language-game”. (#7)

 언어-게임은 고립된 언어가 아니다. 각각의 게임이 그러하듯, 언어도 특정한 양식, 패턴, 규칙, 배경을 지닌다. 즉 언어의 사용 방식은 서로 다른 이해와 해석을 낳는다. 

And this diversity is not something fixed, given once for all; but new types of language, new language-games, as we may say, come into existence, and others become obsolete and get forgotten. (We can get a rough picture of this from the changes in mathematics.) The word “language-game” is used here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speaking of language is part of an activity, or of a form of life. (#23, emphasis mine.)

 이와 마찬가지로 "지시적 정의"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28) 쓰임을 배제한 [낱말-대상]의 지칭적 정의는 무한 퇴행을 야기한다. 이는 마치 모르는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전을 찾는 일과 같다. 따라서 우리는 언어의 쓰임을 배제한 채, 그것의 보편적/이상적 논리 구조를 형이상학적으로 추출할 수 없다. 

 여기서 비트겐슈타인이 말하는 활동/삶의 형식은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의 가능 조건으로서의 역할, 즉 "느슨한 선험적 기능; loose apriority"을 담당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그것이 칸트(I.Kant) 식의 특정한 "정신적 작용; mental-process or mind"과 같은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를 개인들의 범위를 넘어선 공동체의 규약/합의(the communal agreement beyond the reach of individuals)로 해석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본다.  

 #39의 한 문장: 이름은 실제로 단순한 것을 지시해야 한다.; A name ought really to signify a simple.(#39) 

 이 문장은 언어-게임의 논리적 구조가 <논고>에서 제시된 그림 이론과 배치될 필요가 없음을 주장한다. 단어가 문장을 구성하듯, 단순한 것(simples)은 우리 언어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복합적인 것(composite)을 구성한다. 그러나 '단순' 또는 '복합'이라는 개념조차도 문맥 의존적이다. 

 We use the word “composite” (and therefore the word “simple”) in an  enormous number of different and differently related ways. (#47)

 또한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명명할 수 밖에 없는 '요소(primary element)'는 마치 형이상학적 실체를 상정하는 듯 보인다. 이는 순수한 언어, 이에 대응하는 단일한 논리 구조를 상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철학적 환상/오류에 지나지 않는다.  

 We can put it like this: This sample is an instrument of the language, by means of which we make colour statements. In this game, it is not something that is represented, but is a means of representation. (...) What looks as if it had to exist is part of the language. It is a paradigm in our game; something with which comparisons are made. (#51)

 언어의 단일한 구성 요소가 언어 전체의 토대로 기능하지 않는다. "지칭적 정의/설명 또는 가르침"은 언어-게임의 한 부분으로써 작동한다. 그것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실체가 아니다.  언어-게임의 범례(paradigm)는 고정되지 않는다.

2023년 6월 10일 토요일

(읽기)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

<철학적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Wiggenstein / 한글 번역서 by 이승종 역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 introduction> by David G. Ster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y
Ludwig Wittgenstein

 "진보란 대체로 그 실제보다 훨씬 위대해 보이는 법이다." - 네스트로이 

 <철학적 탐구>를 향한 여정을 시작하며, 스턴(David G. Stern)은 책의 첫 장, 첫 문장, 네스트로이의 희곡 속 주인공의 대사에 주목한다. 책의 금언(the motto)이 되는 이 문장이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지향,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 말한다. 그는 이를 일상적 대화의 문체로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Motto: 'Anyway, the thing about progress is that it looks much greater than it really is.'  (Nestory) (Stern 2004, p.58)
 이 문장에 대해, 그리고 책 전반에 걸쳐, 더 넓게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내재적 읽기(immanent reading) or 외재적/발생적 읽기(genetic reading)-의 의미와 한계를 지적하고 있는 스턴의 시선은 <논고; Tractatus>와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의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탐구>는 자신의 첫 철학적 성취 <논고>를 배격하는가? 혹은 두 저작은 서로 같은 철학적 지향을 함축하고 있는가? 
 
 네스트로이의 희곡이 지닌 당시 세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 희곡 속 인물들이 주고받는 대화의 흐름이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Each verse divides into three parts: (1) how bad things used to be. (2) how much better they seem now, (3) why they're actually worse than ever. (Stern 2004, p.64)       

 이는 철학적 대화(dialogue)라는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탐구> 속 목소리, 그 논증 구조와 매우 유사한 모습이다.

 이와 같은 비판적 시각은 비트겐슈타인이 목도한 당시 세계를 향한 것일 수도, 남들이 찬양하는 자신의 철학적 성취의 이면을 드러내고자 한 것일 수도 있다. <논고>를 통해 바라보던 '세계-언어' 관계의 경직성을, 또는 <탐구>가 딛고 서있는 '일상 언어'의 불완전함을 지적한 것일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문맥은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탐구>의 첫 문장에 대한 해석도 마찬가지다. 스턴은 이 문장을 통해, 이 문장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이해 그 자체를 <탐구>를 향한 첫 걸음으로 삼는다. 

 Contex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Wittgenstein's subsequent investigations, for he thinks that philosophy goes wrong precisely when it tries to abstract from context, taking words that have multiple meanings in multiple contexts and trying to understand those words taken out the particular contexts in which they are used. (Stern 2004, p.70, emphasis mine.) 

 근대의 기획, 주체의 출현, 주체에 주어진 인식적 특권, 주체가 표상하는 세계, 고립된 언어, 경직된 논리, 그리고 진보에 대한 확신.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이 모두를 향한다. 어쩌면 철학 그 자체의 종말을 선언하고자 했던 것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모든 해석과 이해는 어디까지나 잠정적이며, 특정한 문맥을 수반한다는 사실이다. <탐구>를 통해 비트겐슈타인이 말하고자 한 것(saying)은 그 너머의, 그 자신이 보여주려 한 것(showing)에 대한 이정표가 이미 우리의 삶 안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과 이를 탐구하고자 하는 용기가 아니었을까 짐작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