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석사과정을 공부했던 곳은 진보적인 학문 지향으로 (이쪽 분야를 공부하는 이들이게만) 꽤나 유명한 곳이었다. 많은 진보적 이론가들이 이 곳에 머물며 공부하였고, 또 새로운 젊은 이론가들이 이 곳을 거쳐간다.
이 곳의 친구들과 대화를 하던 중 나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I am kinda radical leftist in my country."
친구들은 이를 농담으로 받아들였고, 나 또한 일정 부분 농담으로 말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사실 나는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보면 꽤나 급진적인 입장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정치적 입장이라는 것 -진보와 보수의 구분- 이 특정 사회 내에서 사용될 때, 그 의미는 굉장히 상대적이다. 그런데 과연 내 친구들이 농담으로 받아들인 저 문장의 의미가 단순히 "상대적"이라는 개념 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일까 고민해본다.
왜 그들은 내가 꽤나 보수적인 가치 - 근대 부르주아적 가치, 그들이 비판적으로 말하는 사람들을 기만하는 위선적 가치 - 를 지향한다고 생각했을까? 실제로 나는 그들의 기준에서, 이 학문 공동체 안에서 보자면, "일정한 틀" 혹은 "객관적으로 조직된 체계"를 옹호하는 보수적 입장에 위치해 있다. 왜 일까? 나는 왜 그들이 넘어가고자 하는 기존의 틀, 체계, 조직, 형식을 원할까?
다른 질문을 해보자. 나의 배경을 이루는 한국 사회는 일정한 기준을 지닌, 객관적으로 조직화된 체계를 가져본 적이 있을까? 다시 질문을 바꿔보자면, 한국 사회는 서구적 근대를 -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 경험하였는가? 서구의 근대성은 이 세상을 바라보는 체계적인 틀을 우리에게 제공하였지만, 모든 대상을 표상(Re-presentation)의 객체로 이해하는 전체성의 폭력을 낳게 되었다. 주체는 언제나 객체에 침투해 들어가야 하는 '인식'주체로서 일정한 틀에 포함되지 못한 여분의 것들을 살펴볼 여유를 상실하였다.[1]
[1] 하이데거는 이러한 근대성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는 근대 학문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인식행위(Erkennen)가 존재자의 영역 속으로 ‘접근해 들어가는 행위’로서 스스로를 정립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연구’(Forschung)를 그 출발점으로 삼는다. 접근해 들어가는 행위는 대상 인식을 위한 열린 구역(Bezirk)을 필요로 하며, 이는 자연의 진행과정에 대한 인간 주체의 선행적 진입 - 특정한 밑그림 - 을 바탕으로 한다. 수리․물리학의 경우 이러한 근대 학문의 특징이 명확히 드러나는데, ‘수학적인 것’(數, 타 마테마타)이 모든 자연과 대상을 ‘미리 알려진 것’으로서 인식 주체 앞에 표상시킨다. 다시 말해, 수리물리학은 수적으로 계산 가능한 영역 속에서 모든 자연을 도구적으로 바라보며, 표상의 확실성 안에서 파악하고 이해하려 한다.
그리고 한국 사회는 이 전체성의 폭력을 두 이념의 극단적 충돌이라는 모습으로 직접 겪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 폭력의 가해자도 피해자도 아니었다. 우리는 지나가던 행인이었고, 쓰러져 있는 우리에게 외부자들은 그들의 체계를 이식하였다. 한국사회는 그들이 그들 사회 안에서 공유해 온 특정 개념들을 수용하였지만,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충분히 갖지는 못했다. 우리에게 무비판적으로 이식된 서구의 근대성은 결코 반드시 거쳐야 할 역사적 필연이 아니다. 고립된 주체로 부터 시작된 서구의 근대성은 각각의 개별자들에게는 기만적 체계였고, 이를 수용하지 못한 주체들은 주체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채, 주변으로 떠밀리고 더 나아가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근대성에 대한 경험은 서구사회로 하여금 그들의 기존 체제에 대한 비판적 접근의 시발점이 되었다.
다시 나의 경험을 되돌아보자면 나는 지금껏 부숴버려야 할 어떤 사회적 체계도 경험해보지 못 한 듯하다. 한국 사회가 지금껏 사회 체제라고 불러왔던 것들은 단지 소수의 사적욕망을 감추기 위한 포장지에 불과하지 않았는지 반성해 본다. 끈임없는 비판적 상호충돌과 합의로 부터 도출된, 객관적으로 조직된 사회적 체계를 우리는 스스로 그려 본 적이 없다. (서구 사회도 그다지...이건 어쩌면 그저 환상?) 이 곳의 친구들은 그들 스스로 부숴버리고자 하는 사회 체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나에게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단순히 진보와 보수의 구별 안에서 용해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나와 그들이 겪은 역사와 문화의 차이라고 생각하며, 모두가 동일한 선상에 서 있지 않다는 사실이 우열의 차이 또는 진보와 보수의 차이로 환원되기는 어렵다.
언제나 정치적 공방은 치열하다. 이것과 저것의 깔끔한 구분이 사람들에게 소속감을 부여한다. 그 소속감이 개인들에게 일종의 희열감과 충성심을 불러일으킨다. 위험하다!
한 친구가 내게 말했다.
"There are lots of people you can never talk with. They will never listen to you and never be rational. They will stick to their own dogmatic belief."
그래서 내가 말했다.
"Human being has never been rational actually, there is no such thing as reason. BUT I think we can still have a conversation."
5년 만에 들른 나의 나라는 어수선했다. 그 동안 이 곳에는 많은 상처와 아픔이 있었고, 우리 사회는 타인의 상처와 아픔을 충분히 공감하고 위로하지 못하였다. 자신의 정치적 신념에 대한 희열감을 신중함으로, 소속에 대한 충성심을 비판의 눈으로 바라볼 때 우리는 간신히 대화를 시작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한국사회의 새로운 시작점을 스스로 만들 매우 귀중한 기회를 얻었다. 지금이야말로 어떤 사회를 갖고 싶은지 끊임없이 묻고 또 물어야 한다. 진짜 대화가 필요하다.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말이다.